브랜딩

[병원 내원율 전환 3탄] 다른 병원과 경쟁하기 위해 의료진 홍보를 하면 안되는 이유

Eureka-I 2023. 6. 30. 21:55

안녕하세요? 유레카 입니다 병원 내원율 전환 3탄 입니다

 

광고-병원 내원-결제 단계에서 푸시(push)마케팅이 아닌 풀(pool)마케팅을 해야하는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3편 주제는 의료진 홍보 입니다 병원 홍보와 의료진 홍보를 하나로 묶지 않고 다른 범주로 나눠야 하는 이유는 병원 홍보가 의료진 홍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병원 홍보는 병원이 왜? 존재하는지에 대한 홍보이다 
의료진 홍보는 의료상품이 왜?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홍보이다 

 

광고를 보았을때 팩터가 있어야만 예약-내원-결제가 이뤄지는데 팩터가 명확해야 접점이 되고 접점이 모여야 전환이 된다

팩터 : 광고로 받아 들이지 않고 병원이 도움이 되는곳이라고 인식하게 만드는 요소 
접점 : 광고에 대해 문의 & 상담 예약으로 연결되는 것 
전환  : 접점을 통해 내원-결제가 이뤄지는 것 

팩터가 더 명확해 질수록 전환율이 높아지고 광고를 했을때 접점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데 접점을 어떤 매체에 어떤 키워드와  메세지로 광고를 할지에 대한 플랜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마케팅팀에서만 광고를 하는게 아니라 원내 직원까지 전 직원이 마케팅팀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광고 전환 1탄, 2탄과 병원 마케팅 기초에서 더 자세히 다루고 있기 때문에 차례대로 읽으면 왜 풀(pool)마케팅을 해야만 하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것입니다 

 

[병원 내원율 전환 1탄]마케터가 기획을 하지 않고 광고만 하면 내원 전환이 힘들다
보기>>https://url.kr/hke3d5

[병원 내원율 전환 2탄] 광고-병원 내원- 결제 과정, 마지막 최종 관문 지점 Goal 키워드 홍보 방법
보기>>https://url.kr/ekhj5w

 

[병원 마케팅 기초3편] 병원 내부 직원도 병원 마케팅 팀 이다
보기>>https://url.kr/rl8fvs

 

병원이 왜? 존재하는지 이유에 대한 홍보는 풀(pool)마케팅 이다
광고를 광고로 생각해 off 시켜 버리는 이유는 정보를 밀어 넣는 푸시(push)마케팅 광고 이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상징적 의미를 추구하기 때문에 의미를 부여하면 그것이 사야할 이유가 된다 
의료진을 홍보하는것 또한 푸시(push)마케팅 입니다 정보를 밀어 넣어서 결정을 하려 하기 때문에 광고로 밀어 냅니다

<의료진 홍보를 했을때 전환이 안되는 이유>

1.의료진에게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필요성을 느끼기 어렵다 
제품을 사용했을때 필요성을 느낀다 가령 경쟁 병원과 차별화 하기 위해 의료진 홍보에만 초점을 맞췄을때 소비자의 고충이나 즐거움에 초점을 맞추지 않은것이기 때문에 전환이 어렵다 

 

2.좋은 것인지, 그렇지 않은 것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품질을 파악하기 어렵다 
구매시 좋아 보이는 제품을 만들어야 하는데 의료진이 아닌 의료 상품을 홍보 해야 품질을 파악할 수 있다

 

3.제품 범주가 없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렵다
제품을 소개할때는 기존에 익히 알려진 개념인 제품 범주를 활용 해야 한다 제품 범주는 제품이 무엇에 필요한지 필요성을 알려주는데 의료진 홍보를 할때 제품 범주를 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제품의 필요성을 이해하기 어렵다

또한 의료진 홍보는 의료진이 그만 두었을때 병원 홍보가 안됨에도 불구하고 많은 병원에서 의료상품이 아니라 의료진에 홍보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깊고 넓게 고객 확장을 하려면 의료상품 홍보를 해야만 한다

병원을 더 발전시키려면 고객을 깊고 넓게 확장 시켜야 하고 다른 병원과 경쟁하기 위해 의료진 홍보에 초점을 맞춰선 안됩니다 전환이 된다는것은 분명한 팩터와 접점이 있다는 것입니다 병원이 도움이 되는곳이라 여겨 전환율을 높일 수 있고 이것은 특정한 병원만 해당되는게 결코 아닙니다

홍보 초점을 다른 병원에 맞췄는지, 고객에게 맞췄는지에 따라서 고객은 병원이 도움이 되는곳인지를 판단할 겁니다